poly에 있는 육팔면체 그림이다.
육팔면체의 이면각은 삼각형과 사각형이 125.26439도라는 자료를
기초로 해서 육팔면체를 만드는 과정을 소개한다.
사진과 같이 육팔면체를 자를 수 있는 보조대를 만들었다. .
재료는 한 변의 길이가 50mm인 정육면체이고 재질은 유럽산 단풍나무(Hard maple)이다
보조대에 정육면체를 넣고 클램프로 고정시켰는데 사진처럼 틈이 없게 맞춰야하고
자를 때는 나무결을 염두에 두고 잘라야 한다.
엇결로 자르면 자른 면이 거칠고 모서리에 끄트러기가 심하게 생긴다.
보조대에 고정된 정육면체를 돌려가며 4곳을 자르고
뒤로 돌려서 다시 4곳을 자른다.
기계가 표시하는 톱날각의 눈금단위는 1도씩인데,
여러번 잘라가며 미세조정을 해야하고
당연히 보조대의 각도는 사진과 같이 정육면체가 모서리로 잘릴 수 있게
45도로 2개 내각 90도가 되어야한다
뒤로 돌려서 자르는 과정과 그런 과정으로 1개가 완성된 모습이다.
이때 꼭지점과 모서리를 확인해서 수정할 곳은
보조대의 위치와 톱날의 각도 등을 조정해서 수정한다.
방금 만든 것을 놓고 사진을 찍었는데 빛으로 구분된 면과 모서리 그리고 꼭지점이 아름답다.
사진은 육팔면체로 만들기 전의 정육면체인데 각도와 규격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여러 개를 한꺼번에 반듯한 판에 올려놓고 돌려보면
그래서 어떤 게 틈새가 벌어지면 그건 90도가 아니라서 쓸 수 없다.
처음부터 90도가 틀리면 다음과정에서 수정은 불가능하다.
조심스레 만들어진 육팔면체가 박스에 담겨있다.
사진은 재단기의 눈금표시부인데 작은 손잡이를 돌려서 각도를 조정한다.
35.26도로 뉘여진 톱날을 정면에서 본 모습이고
사진은 둥근톱의 톱니가 촘촘히 박혀있는 것을 보여주는데,
톱니수가 많으면 가로자르기용이고 톱니수가 적으면 세로켜기용이다.
만약 톱니수가 적은 세로켜기용으로 육팔면체를 만들었으면
면이 심하게 거칠고 모서리와 꼭지점에 끄트러기가 생겨서 쓸 수 없을 것이다.
풍생고등학교 김세식선생님이 2차곡선 교구동영상 때문에 방문했다가
육팔면체 제작과정을 동영상에 담고 있다.
김선생님은 오래 전부터 어려움을 함께 했었는데,
언젠가 보람 있는 일에 우리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디자인을 2000년부터 지금까지 직간접으로 돌봐주는
디자인 모올의 조영길 사장님(현재 산업디자인협회 회장)이
육팔면체를 직접 만들어보고 있다.
처음 재단기 앞에 섰을 텐데 의외로 차분하게 적응한다.
차츰 나타나는 육팔면체의 모양에 신기하고 즐거운가보다.
톱날에 잘려진 부분이 거칠다며 사포에 갈고 있다.
사포질까지 완성된 육팔면체
베테랑 산업디자이너가 직접 육팔면체를 만들었다.
앞으로 이 육팔면체 만들기 과정도 선생님들 교구제작연수에
활용할 생각으로 지켜보고 있는데,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본다.
선생님들이 직접 육팔면체를 만든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흐뭇하다.
참고로 안압지주사위와 깎은 정팔면체도
모두 육팔면체와 같은 각으로 만들어지는데
다만 자르는 위치만 달라질 뿐이다.
한양대학교 왕문옥교수님도 육팔면체를 만들기에 동참
대구 중등선생님들이 일정에 없던 육팔면체를 만들기를 하고 있다
왕문옥교수님의 일행인줄 알았는데 학생들을 데리고 온 선생님이었다.
참 차분하게 잘 하셨던 게 기억에 남는다
순천대학교 송영무교수님이 영문도 모르고
기계 앞에 섰다가 육팔면체를 만드는 체험을 한다.
다른 분들은 모두 육팔면체 제작과정을 보고 시작했는데
송교수님은 제작과정을 보지도 못하고 바로 제작에 들어갔다
송교수님이 엉겁결에 육팔면체를 완성한 기쁨으로 나와 함께 기념촬영을..
이외에 인천에서 일정연수을 받으러 오신 약5~60명 수학선생님들 모두가 육팔면체 만들기를 체험했고,
부산,경남 선생님들과 대구 선생님들이 또한 함께 했다.
나무가 예리하게 잘리는 회전톱날 앞에서 두려움과 호기심에 가득찬 표정으로 바라보다
본인이 직접 완성했을 때 기뻐하는 선생님들을 바라보는 마음도 또한 기쁘다
'수학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뿔곡선 증명교구 (0) | 2013.08.24 |
---|---|
나무로 만든 입체 탱그램 (0) | 2013.08.23 |
피타고라스 의자 제작기록 (0) | 2013.08.16 |
공으로 구하는 약수 (0) | 2013.08.14 |
안압지 주사위(목재 주령구) 만들기 (0) | 2013.08.07 |